cat tag


네이버 실검에 대한 음모론 + 블로그 내용 정정 내맘대로 뉴스논평

https://ko.wikipedia.org/wiki/%EC%9D%8C%EB%AA%A8%EB%A1%A0
<마우스 우클릭후 새탭에서 열기를 해주세요>
<음모론에 대한 위키 내용>

이 글은 실검이 조작되었다는 가정으로 시작하는 음모론 글입니다. 참고하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어떤 사람이 X라는 키워드를 검색했고 우연히 많아져서 실검 높은 순위로 높아진다면 X라는 키워드가 높아지는 것은 조작은 아닐거에요. 하지만 기계나 돈을 주고 사람을 고용해서 순위를 높였다면 조작일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에서 네이버 실검에 대해서 조작인지 아닌지를 우리가 파악할 수는 없지요. 

누군가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높은 순위로 높여놓았다면 그것이 의도하는 바가 있을 것이고 그것에 빠지지 않아야 하는 것이 좋겠지요.

인터넷에서 정당하게 서로 토론하는 문화가 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여론의 조작하기 위한 공간으로 타락하는 것은 문제가 있겠지요. 이것이 정치적이든 상업적이든지 어느쪽으로도 정당하지 못한 현상이라고 봅니다.

지난번 대선에서 이명박 아바타라는 조작으로 인해서 한 후보의 지지율이 매우 꺾여 버린 현상. 그런 현상이 좋은 현상은 아니잖아요. 또한 그런 만큼 네이버에서는 그런 현상을 막도록 노력했는지는 모르겠으나 막는 만큼 조작도 성장하는 것이 조작 기술이에요. 악덕업체면 돈받고 순위에 올려줄수도 있어요. 네이버는 과거에 돈을 받고 검색결과에 넣어주는 서비스를 하기도 했어요. 이런 블로그 글을 말이지요. 네이버는 조작을 막는 노력을 그리 하지 않는다는 경험을 하였지요.

그런데 지금까지 오는 과정을 보니까 음모론을 제기해도 되겠다 수준이여서 음모론을 하나 제기해 보려 합니다. 그런만큼 근거가 없다는 부분. 조사가 되어서 결과가 나온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싶어요.

<마우스 우클릭후 새탭에서 열기를 해주세요>
<이 뉴스에서 가져 온것은 문재인 지지도에서 50대 부정이 50%→58%, 10~20대 부정이 2주전과 39%→46%.8월 23일 뉴스>

10~20대와 40~50대에서 문재인 지지율이 빠지고 있고, 10~20대의 상승율이 높고 50대는 50%를 넘었다는 결과이지요. 다른곳에서 40대는 상승했다는 뉴스도 있었지요. 이때 부정의견에 인사문제가 중요문제도 나왔다고 하지요. 그리고 네이버 실검 조작이 27~28일에 있었고요.

<마우스 우클릭후 새탭에서 열기를 해주세요>
<조국 힘내세요는 30~40대, 조국 사퇴하세요는 10~20대, 50대에서 많이 검색했다는 뉴스>

나이별로는 정확하게 일치하게 나오고 있어요. 정말 조작없이 했던 부분일까요? 그러나, 여기까지만이에요.

<마우스 우클릭후 새탭에서 열기를 해주세요>
<리얼미터 조사결과. 28일 조사>

이 뉴스에서 중요한 것은 세종/충청/대전에서 조국 반대 70.2% 이것은 부산/경남/대구/울산/경북보다 높아요. 서울 57.8% 로 조국 사퇴가 우세했어요. 조국 찬성은 광주/전라에서 56.7% 이지요. 그 밖의 지역은 비슷하지요. 리얼미터에서는 조국 찬성이 다른 조사보다는 39.2%로 높게 나왔네요. 지역별 이렇다는 것이에요.

<마우스 우클릭후 새탭에서 열기를 해주세요>
<트랜드 분석>

조국 힘내세요는 전지역인데, 조국 사퇴하세요는 경상도 어디쯤이랑 경기/서울만이라는 것....설문조사랑 왜 이렇게 틀릴까요?

이런 것이 설문조사랑 틀린 데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 수 있을까요?

결과도 조국 힘내세요가 조국 사퇴하세요를 이겼는데 아직 어떤 설문조사에서도 아직은 조국 사퇴가 더 많이 나오고 있지요.

이것이 조작이라는 가정에서 본다면 시나리오 잘 짰지 않나요?

나이대에서 진실처럼 보이게 하면서 지역감정을 슬쩍 건들면서 상황이 역전된 것 처럼 보이도록 인터넷에서 조작한 상황....예전과 달리 매우 흥미롭게 잘 짠것이지요. 그러나 맞는 것은 나이대밖에 없고 다른 것은 다 설문조사 결과와 다른 결과가 나왔어요.

나이대가 표시된다는 것은 계정에 접속해서 했다는 것이고 지역표시는 IP를 통해서 추적한 것이지요. 여러분의 인터넷의 주소인 IP에는 여러분이 어떤 지역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지 나타나요. 어느 쪽이든 다 조작은 가능합니다. IP주소가 가입한 통신사에서 부여받은 IP가 아니라 다른 IP로 접속한듯 서버에 보내는 기술도 있어요.

이것이 만약 조작이면 앞으로 더욱 치밀하게 시나리오가 나와서 여러분을 속이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것은 이미 지난 대선, 그 전 대선등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치밀하게 만들어진 조작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어요.

이 부분이 조작이다 아니다라는 것은 음모론으로 밖에 제시할 수 없어요. 조작이 가능하다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시할 수 있지만 이 현상이 조작이다 아니다는 제가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수사 결과가 있어야 하겠지요. 조작이라면 참 잘 짰어요.

조작하는 인공지능을 만들려면 조작을 막는 인공지능을 만들어서 서로 대결시키는 방식이 있어요. 이런 방식에 대해서 예전에 인터넷에 적기도 했는데 몇주뒤에 그런 것이 발표되더라고요.(전 빅데이터 없이도 알파고 같은 바둑 프로그램은 충분히 만든다는 내용. 빅데이터 불필요하다고 적은 내용) 내 블로그 보고 만들어진것은 아닌 것 같고, 그 전부터 연구하다가 그 때 발표했겠지요. 몇주만에 논문 적었겠어요? 심지어 국내도 아니고 외국에서. 그리고 전 개요정도만 작성했으니까요. 그런데 이런한 상태. 즉, 조작과 조작을 막는 것. 이 조작을 막는 것은 사람들이 조작에 경계하는 것도 포함되겠지요. 네이버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으로는 네이버가 이 문제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하고 고칠려는 노력은 크지 않은 것 같아요. 우리가 조작에 대해서 경계하는 것 이상으로 조작을 항상 발전하기 위해서 노력할 것입니다. 항상 이러한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지요. 물런 이것은 이 현상이 조작이라는 가정에서 말하는 것이지요. 조작없이 일어난 일일수도 있어요. 지금은 알 수 없지요. 그래서 음모론입니다.

<마우스 우클릭후 새탭에서 열기를 해주세요>
<우리사회에 대한 설문조사>

24일 기사인데, 우리사회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이에요. 20대에게만이고 특정 앱 사용자이기 때문에 이것이 여론 전체는 아니지만 대충 이러한 내용이에요.

우리나라에서 법은 공정하게 집행되고 있지 않다 - 88%
우리나라에서 객관적 채점이 아닌 평가자의 주관에 대한 평가는 신뢰하기 어렵다 - 83%
한국은 갈수록 성공하기 어려운 나라 - 80%
열심히 일해도 계층이동을 할수 있는 사회가 아니다 - 79%

지지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런 것이겠지요. 무엇이 문제인가? 하는 것은 이러한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인터넷 실검이 30일에도 붙었다고 하더라고요. 조국과 다른 당 특정 의원에 대한 의혹이 올라갔다고 하던데 투표하는 무당층에서는 문제가 있다면 조사하자~! 조국과는 별개 문제지만 그것에서 잘못이 있다면 조사하는 것이 원칙이지 않겠어요? 정도...정치인 아들 딸은 잘못해도 괜찮다는 아니잖아요. 대통령의 자녀라도 조사하는 것이 원칙이여야죠.

[블로그 정정1] 한상혁 방송통신 위원회 청문회에서 한상혁씨가 가짜 뉴스에 대해서 가자 뉴스 규제에 대해서 생각이 없다정도로 답변한 것이 다른 뉴스에서 봤습니다. 우리가 가짜 뉴스를 고의적으로 인터넷에서 생산하지 않아도, 가짜 뉴스 정의에 의해서 우리가 얼마만큼 언급할수 있는가? 하는 것이 정해지지요. 가짜 뉴스의 정의에서 잘못된 추론이라면 우리도 글 작성할 때 추론 한번 잘못하면 가짜 뉴스가 되니까 글 적을 때 더 주의해야 하지요. 그런만큼 이 부분에 관심이 있었어요. 지금도 다른 법률에 의해서 심각한 글들은 처벌 받고 있습니다. (합리적 이유 없이 조국에 대해서 여자 문제를 제기한 분이 처벌 받았지요) 하지만 표현의 자유가 줄어드는 것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블로그 정정2] 알파로에 대해서 예전 작성한 글은 빅데이터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으로 만들었을 경우 문제점을 작성했는데 내용을 보니까 추론을 사용했다고 하는데 추론이라면 다른 문제점이 있어요. 법리 해석을 통해서 결과를 내는 것인데 법률이 바뀐 다른 부분에 대해서 가능한가? 추론에서 모든 자연어에서 가능하지 않은 한계. 지금 있는 법률은 단어나 문장관계를 인위적으로 정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은 처음 만나는 법률 문장이 나왔을 때 해석할 수 있는가 검증이 없는 문제가 있어요. 그런데 빅데이터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이 아니라는 것도 확실히 나온것은 없으므로 이 부분은 현재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빅데이터로 학습하는 인공지능도 추론이라고 하기도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이런 부분이 있다는 점을 알아두시면 될 것 같네요. 확실한 것은 AI이 인간을 대체한 것만큼 완성도가 있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있어서 인간과의 협업이라는 점도 변하지는 않아요. AI가 책임을 질 만큼의 완성도는 아니며 AI의 결함을 인간이 체크해야 하며 AI의 결함을 인간에게 책임으로 넘기기 위해서 협업을 하는 것이지요.